교수/교직원

유능하고 창의적이며 투철한 가치관을 지닌 과학 인력 교육 목표

전임교원

력 및 경력


1983.03 ~ 1987.02   고려대학교 생물학과학사

1987.09 ~ 1989.08   고려대학교 생물학과석사

1990.09 ~ 1994.02   고려대학교 생물학과박사

1994.02 ~ 1995.08   Postdoctoral fellow.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95.09 ~ 1996.12   Postdoctoral fellow.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Daejon, Korea

1997.01 ~ 1998.12   Postdoctoral fellow.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Lansing, USA

1999.01 ~ 2000.04   Postdoctoral fellow.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Daejon, Korea

2000.05 ~ 2004.12   Research Professor.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004.01 ~ 2004.12   Visiting Professor.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Lansing, USA

2004.12 ~ 2009.03   Assistant professor. 전남대학교 식물생명공학부

2009.04 ~ 2010.02   Associate Professor. 전남대학교 식물생명공학부

2010.03 ~ 2014.03   Associate Professor. 전남대학교 바이오에너지공학과

2013.09 ~ 2018.08   전남대학교, BK plus 21 바이오에너지 생명공학 기초기술 및 개발 연구팀 Leader

2014.04 ~ 2018.08   Professor. 전남대학교바이오에너지공학과

2018.09 ~ Present   Professor. 서강대학교생명과학과



학회 및 편집위원 활동

(국외)

1.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프랑스 생리생화학회지 (2013, IF 2.936), 편집위원 (2002 ~ 현재)]

2. Plant Biotechnology Reports, Editor (2015. 12 ~ 현재)

3. Frontiers in Plant Science, Editorial board member (2014. 01 ~ 현재)

4. Plant Cell Reports (2014, Guest Editor for special issue; “Plant Lipids and Biotechnology”)

5. International Plant Lipid Symposium (Advisory board member)

6. Asian Plant Lipid Symposium (Advisory board member)

7. 5th Asian Plant Lipid Symposium 개최 (Gwangju, 2013 11. 30 ~ 12. 02), 공동조직위원장

8. 한국연구재단 World Class University 과제 유형 1수행 (2009~2013), 중과제 책임자

9.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Plant Lipids, Guelph, Canada, 조직위원

10. 그 외 다수의 국제 심포지움 개최 (전남대학교, 2004 ~현재), 조직위원

11. 그 외 3건의 국제공동과제 수행.

 

(국내)

1. Korean Botanical Society of Korea [한국식물학회이사 (2017~2018)]

2. Korean Botanical Society of Korea [한국식물학회국제교류위원장 (2015~2016)]

2. Korean Society for Plant Biotechnology [한국식물생명공학회이사 (2015~2018)]

3. Korean Society for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한국분자세포 생물학회정회원)

4.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원)

5. 농촌진흥청 현장 명예연구관 (2014. 01 ~ 2015. 12)

6. 농촌진흥청 차세대 바이오 그린사업 차세대유전체사업단 (전문위원, 2011.01 ~ 2015.12)

 

 

개설강의

 

생명유기화학 (Organic and Biological Chemistry)

생명체를 이루는 주요 화합물은 탄소 중심의 유기화합물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분자의 구조 및 화학 결합을 이해하고, 탄소 화합물들의 화학 구조적 특징을 배우고, 작용기들에 따른 분류와 기본적 유기화학 반응들을 이해하여 생명체 내에 존재하는 고분자 유기화합물, 지질과 막, 탄수화물, 단백질과 효소, 핵산의 분자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분자 수준에서 생명체를 이해하는 데 있다.


식물대사학 (Plant Metabolism)

식물 대사 (광합성, 호흡, 탄수화물, 지질 대사 등) 기작 및 관련 효소들의 분자생물학적, 생화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며, 본 연구에 사용되는 실험 기법 등을 소개하여 식물 대사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와 관련하여 진행되고 있는 연구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 및 질적 수준 향상을 꾀하고자 한다.


식물분자생리학 (Plant Molecular Physiology)

식물은 지구상의 1차 생산자로써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시키고고분자 물질 (탄수화물단백질지질핵산)을 생산하기 위하여 주위 환경으로부터 물무기염기체분자 등을 식물체 내로 흡수한다그 후 일련의 대사과정 (광합성호흡지질대사 등)을 거쳐 생체고분자를 합성하여 식물의 조직과 기관의 분화에 사용함으로서 생명현상을 영위하고 있다이러한 식물의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과목이다.

 

현대생물학실험IV

미생물학식물학인체생리학세포학 등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들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실험 기법을 배우고실습함.




연구분야


식물 Extracellular Lipids

- 육상 식물의 큐티클 층 형성 기전 연구

약 4억 7천만년 전 수생식물이 육상식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육지의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하여 식물에는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났고 그 변화들 중 하나가 큐티클 구조의 발달이다. 식물의 표피세포 바깥 부분들은 큐티클 (cuticle) 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이 큐티클은 다양한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외부 환경스트레스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특히 기공 외 수분 손실과 기체 교환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실에서는 수생식물 혹은 초기 육상식물들의 원시적 큐티클 구조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탐색하고, 그 기능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큐티클 지질 (Cuticular lipids) 생합성, 수송, 및 조절 기전 연구

큐티클 지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주로 소포체에서 이루어지고, 생합성 후 큐티클 지질은 원형질막 밖의 친수성 세포벽을 통과하여 식물의 표면으로 축적된다. 본 연구실에서는 큐티클 층을 형성하는 지질의 세포내 생합성 기전과 세포 내부에서 생성된 소수성 지질 물질이 원형질 막 밖의 친수성 세포벽을 통과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기전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특히 특정 외부 환경스트레스에 반응하여 큐티클 지질의 형성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특정 외부 환경스트레스에서 큐티클 지질의 생리학적 기능은 무엇인지 그 상관성을 밀접히 연구하고 있다. 큐티클 지질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들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조절기전 (transcriptional regulatory mechanism), 그리고 단백질들의 안정성을 조절하는 번역후 조절기전 (post-translational regulatory mechanism)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81102_1402_2710001.png


             
Seed Oil

- 식물 종자 내 중성지방 (triacylglycerol)의 생합성 및 축적 기전 연구

지질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성분일 뿐 아니라, 종자가 발달하는 시기에는 저장 오일 (oil)로 축적된다. 이러한 저장 오일은 인간과 포유동물의 주된 에너지원으로 섭취될 뿐만 아니라,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실에서는 저장 오일을 많이 생산하는 식물의 종자 발달 과정에서 식물성 오일의 생합성 및 축적을 조절하는 기작 및 저장 오일을 많이 축적하도록 하는 조절기작 등을 연구하고 있다.

- 유전자 변형에 의한 바이오디젤 생산 작물 개선 연구

국내에서 생산하는 바이오디젤의 주된 원료는 해외에서 수입되는 팜유이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바이오디젤 생산 유지 작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재배비용이 저렴하고 가뭄과 저온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뛰어난 특성을 지닌 카멜리나 (Camelina sativa) 작물을 이용하여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바이오작물로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81102_1402_2710003.png


연구업적

(*Corresponding author)


Zhou X-R*, Nishida I, Suh MC, and Vanhercke T. (2020) Editorial: Proceedings of ASPL2019 - 8th Asian-Oceanian Symposium on Plant Lipids. Font Plant Sci. doi: 10.3389/fpls.2020.617094

Lee E-J†, Kim KY†, Zhang J, Yamaoka Y, Gao P, Kim H, Hwang J-U, Suh MC*, Kang B*, Lee Y*. (2020) Arabidopsis seedling growth under high humidity requires a surface cuticle layer constructed by the ABCG5 transporter. New Phytologist 229:156-172

Yang SU, Kim H, Kim R.J., Kim J, and Suh MC* (2020) AP2/DREB transcription factor RAP2.4 activates cuticular wax biosynthesis in Arabidopsis leaves under drought. Front Plant Sci. 11:895 doi: 10.3389/fpls.2020.00895

Lee SB, Yang SU, Pandey G, Kim M-S, Hyoung S, Choi D, Shin JS, Suh MC*. (2020) Occurrence of land-plant-specific glycerol-3-phosphate acyltransferases enabled cuticle formation and gametophore development in Physcomitrella patens. New Phytologist 225: 2468-2483


Kim H†, Yu S-i†, Jung SH, Lee B-h*, Suh MC*. (2019) The F-box protein SAGL1 and ECERIFERUM3 regulate cuticular wax biosynthesis in response to changes in humidity in Arabidopsis. The Plant Cell 31: 2223-2240. (Recommended by Faculty of 1000) 


Lee SB, Suh MC* (2018) Disruption of glycosylphosphatidylinositol-anchored lipid transfer protein 15 affects seed coat permeability in Arabidopsis. The Plant J. 96(6):1206-1217. doi: 10.1111/tpj.14101.  


Ju S, Go YS, Choi HJ, Park JM, Suh MC*. (2017) DEWAX transcription factor is involved in resistance to Botrytis cinerea in Arabidopsis thaliana and Camelina sativa. Front Plant Sci. 11;8:1210. doi: 10.3389/fpls.2017.01210. eCollection 201  


Park CS, Go YS, Suh MC* (2016) Cuticular wax biosynthesis is positively regulated by WRINKLED4, an AP2/ERF-type transcription factor, in Arabidopsis stems. The Plant J. 88(2): 257-270.  


Kim RJ, Kim HJ, Shim D, Suh MC*. (2016) Molec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the monoacylglycerol lipase gene family of Arabidopsis thaliana. The Plant J. 85(6):758-771.  


Go YS, Kim H, Kim HJ, and Suh MC* (2014) Arabidopsis cuticular wax biosynthesis is negatively controlled by DEWAX gene encoding an AP2/ERF-type transcription factor. The Plant Cell 26(4):1666-1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