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교직원

유능하고 창의적이며 투철한 가치관을 지닌 과학 인력 교육 목표

전임교원

학력 및 경력


1985   서울대학교 식물학과 이학사
1987   서울대학교 식물학과 이학석사
1992   Washingto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Genetics and Cell Biology, Ph.D.
1992~1993   Research associate, Institute of Biological Chemistry, Washington State University,
1993~현재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01~2002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방문교수 

2018~2019   John Innes Centre, Norwich, 방문교수



개설강의


유전학 (학부)
    생명현상에서 근본이 되는 유전자의 구조, 기능 및 유전자 발현 조절의 기본원리를 배운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멘델의 유전
    법칙을 이해하고 비멘델 유전현상을 학습한다. 유전학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변이(variation)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학습하며 유전자의 발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도록 한다. 최근의 핫이슈인 유전체학(genimics)과 현대 분자유전학의
    기초를 공부하며, 마지막으로 진화와 유전현상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식물분자생물학 (대학원)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분자생물학의 최근 발달동향을 리뷰한다. 식물체의 게놈 구성과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 기능
    유전체학, 형질전환기법의 원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메커니즘, 신호전달 메커니즘 등 식물 발달의 제반과정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이해를 높인다. 



연구분야 


광합성 생물을 이용한 단백질 의약품 연구

현재 바이오의약품은 CHO 세포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식물분자생물학 연구실은 세계 최초의 인간화 N-당질을 갖는 벼 세포주를 완성하여 항체치료제와 뇌염 백신 등의 연구를, 광합성 미세조류인 클로렐라에서는 항암면역단백질 G-CSF 등 바이오로직스 개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식물은 자가영양체로서 독소나 인수공통바이러스 같은 병원체의 감염 위험이 없고, scale-up 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식물 기반의 바이오로직스 생산 기반 구축과 관련된 성과는 논문 발표 이외에 특허 출원과 기술이전 등으로 산업화되고 있으며 이 분야를 함께 공부할 성실하고 열정적인 학생들의 지원을 기다립니다.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반응 메커니즘 규명

식물은 고착생물로서 환경 스트레스에 취약하여 특히, 비생물적 스트레스는 작물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인구 증가로 인한 식량 수요의 증가는 환경 스트레스 반응 이해를 통한 환경변화 대응이라는 인류의 당면 과제이기도 합니다. 식물분자생물학 연구실은 세포 신호 전달에 중요한 단백질의 N-글라이코실레이션 변화에 따른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 연구를 하고 있으며, 이에 동참할 성실하고 열정적인 학생들의 지원을 기다립니다.


1e23478cc49fb171ec0145c638af04a1_1622100981_5198.jpg
  1e23478cc49fb171ec0145c638af04a1_1622101049_9868.gif

 

  

 연구업적


<논문발표>

Jae‑Wan Jung, Jun‑Hye Shin, Won‑Kyung Lee, Hilal Begum, Chan‑Hong Min, Mi‑Hwa Jang, Han‑Bin Oh, Moon‑Sik Yang, Seong‑Ryong Kim. Inactivation of the β (1, 2)‑xylosyltransferase and the α (1,3)‑fucosyltransferase gene in rice (Oryza sativa) by multiplex CRISPR/ Cas9 strategy (2021.03) Plant Cell Reports https://doi.org/10.1007/s00299-021-02667-8

 

Juyoung Choi, Wonkyung Lee, Gynheung An and Seong-Ryong Kim. OsCBE1, a Substrate Receptor of Cullin4-Based E3 Ubiquitin Ligase, Functions as a Regulator of Abiotic Stress Response and Productivity in Rice (2021.03) Int. J. Mol. Sci. 22, 2487. https://doi.org/10.3390/ijms22052487

 

Woo-Jong Hong, Xu Jiang, Hye Ryun Ahn, Juyoung Choi, Seong-Ryong Kim, and Ki-Hong Jung. Systematic Analysis of Cold Stress Response and Diurnal Rhythm Using Transcriptome Data in Rice Reveals the Molecular Networks Related to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2020.09) Int. J. Mol. Sci. 21, 6872; doi:10.3390/ijms21186872

 

 Jun-Hye Shin, Juyoung Choi, Jeongmin Jeon, Manu Kumar, Juhyeon Lee, Won-Joong Jeong, Seong-Ryong Kim. The establishment of new protein expression system using N starvation inducible promoters in Chlorella (2020.06) Scientific Report 10:12713 | https://doi.org/10.1038/s41598-020-69620-9


Manu Kumar, Ji-Hyeong Jeon, Juyoung Choi,  Seong-Ryong Kim* (2018) Rapid and efficient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 green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J of Applied Phycology 30:1735-1745


Joon-Soo Sim, Mahipal Singh Kesawat, Manu Kumar, Su-Yeon Kim, Vimalraj Mani, Parthiban Subramanian, Soyoung Park, Chang-Muk Lee, Seong-Ryong Kim and Bum-Soo Hahn. Lack of the α1,3-Fucosyltransferase Gene (Osfuct) Affects Anther Development and Pollen Viability in Rice. (2018) Int. J. Mol. Sci. 19:1225; doi:10.3390/ijms1*******


Manu Kumar, Yun-Shil Gho, Ki-Hong Jung, Seong-Ryong Kim* (2017) Genome-wid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genes, conserved between japonica and indica rice cultivars, that respond to low-temperature stress at the vegetative growth stage. Frontiers in Plant Science 8:1120

Sang-Choon Lee, Soo-Jin Kim, Soon-Ki Han, Gynheung An, Seong-Ryong Kim*(2017) A gibberellin-stimulated tran gene, OsGASR1, controls seedling growth and α-amylase expression in rice. J of Plant Physiol. 214:116-122



<특  허>

식물 특이적 당질화 유전자의 유전자 편집을 통한 N-글라이코실레이션 돌연변이 벼 세포주 및 그 세포주를 이용한 항체 단백질 발현 

질소결핍 유도성 프로모터, 클로렐라 유래 신호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시스템

스트레스 유도성 형질전환 식물체 (특허출원번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