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교직원

유능하고 창의적이며 투철한 가치관을 지닌 과학 인력 교육 목표

전임교원

학력 및 경력


1985-1989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이학사 
1989-1991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공학과 (KAIST), 이학석사
 
1991-1994 
유한화학공업주식회사 연구원
 
1995-1999 U of Texas - Houston Medical School, Dept. of Microbiology and Molecular Genetics,
이학박사
(Ph.D.) 
1999-2004 Center for Membrane Biology, U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Houston, Research Fellow 
2004-2008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조교수
 
2008-2015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부교수 

2015-현재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2008-
현재 한국미생물학회 정회원평의원
 
2008-
현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정회원평의원
 
2015-
현재 한국광과학회 부회장
 
2016-
현재 Asia & Oceania Conference for Photobiology, 조직위원


 
 개설강의

 

·  생명과환경(중핵)

·  일반생물학I (전공예비)

·  구조생물학(학부/대학원)

·  생물리학(학부/대학원)

·  분자광생물학(대학원)

·  구조유전체학 및 단백질체학(대학원-바이오융합)

·  광생물리학(대학원-바이오융합)

·  단백질역학,기능,설계(대학원-바이오융합)

 


연구분야 



어떻게 생명체가 빛을 감지하는가 ?

   - 연구주제 : 광수용체(로돕신)의 광인지 및 광에너지 전환 기작의 규명
   - 연구재료 : 각 생명체에 존재하는 광수용체의 기능 및 생화학, 생물리학적 성질 연구
     1. 고세균 (Archaea: Halobacterium, Natronomonas)
     2. 박테리아 (Anabaena, Gloeobacter, Proteobacteria)
     3. 진핵생물 (1) Algae : Chlamydomonas, Acetabularia, Guillardia, Pyrocyctis
                       (2) Fungi : Neurospora, Leptosphaeria
                       (3) Human : Melanopsin



<연구내용>


1. 세포내의 기능을 연구하기 위한 Knock-out 및 RNA interference
2. 막단백질의 대량발현, 분리 정제
3. 신호전달 단백질의 상호작용연구 (phosphorylation, gel shift assay등)
4. 광화학적분석 (spectrophotometer)
5 생물리학적분석 (Laser Flash photolysis, FTIR, Raman, solid-state NMR 공동연구)
6. 광변환 기작을 이용한 광바이오센서 제작



<연구배경>


로돕신 연구분야는 녹색광 수용체인 로돕신에 의한 광감지 조절 현상이 20세기 초에 발견된 이후로 고세균 (Archaea)의 광주성 규명을 위한 순수 학문연구로서 연구되어 왔고, 21세기 들어 proteorhodopsin의 발견으로 해양미생물의 태양에너지 이용 및 환경 적응성을 위한 실용적 응용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최근 극지에서의 광에너지 전환측면에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이 연구분야의 연구성과물이 Nature, Science, PNAS, PLoS Biology 등 유수한 저널에 게재되고 있고, 에너지 전환기작의 이해에서 출발한 광감지 센서 등을 제작하는 공학분야에까지 응용이 되고 있다.

 20180315_1624_2410001.gif

응용 연구로는 광수용체 (로돕신) 및 ATP생산 효소를 리포좀에 넣어 안정화 시킨 시스템으로, 빛에너지를 생명체가 사용하는 ATP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빛을 이용하여  ATP를 안정하게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각종 효소반응을 연속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고, 생체 내에 ATP 비율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여 이를 응용하고자 함.


20180315_1624_2410003.gif


연구업적



  1. Munro R, Vlugt JE, Ward M, Kim SY, Lee KA, Jung KH, Ladizhansky V, Brown LS. 2019. Feb. 04. Biosynthetic Production of Fully Carbon-13 Labeled Retinal in E. coli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Studies of Rhodopsins. J. Biomol. NMR. (IF:2.534) 73(1-2):49-58.

     

  2. Marín MDC, Agathangelou D, Orozco-Gonzalez Y, Valentini A, Kato Y, Abe-Yoshizumi, Kandori H, Choi AR, Jung KH, Haacke S, Olivucci M. 2019. Jan. 09. Fluorescence Enhancement of a Microbial Rhodopsin via Electronic Reprogramming. J. AM. CHEM. SOC. (IF:14.357) 141(1):262-271. (2018 Dec. 11 Epub)

     

  3. Tsogbadrakh O, Choi AR, Jung KH. 2018. Nov. 22. Expression of Anabaena sensory rhodopsin is influenced by different codons of seven residues at the N-terminal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