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실동물생리학연구실
- 전공전기생리학, 분자신경생리학
- 사무실 R1119
- 전화02-705-8791
- 이메일jhleem@sogang.ac.kr
- 홈페이지http://physiology.sogang.ac.kr/
학력 및 경력
1980.2.~1984.2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이학사
1984.2.~1986.8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이학석사 (신경생리학)
1993.1.~1998.2 Loyola University Medical Center, Dept. of Physiology, Ph.D. (생리학 전공)
1998.2.~1999.7 Loyola University Medical Center, Research Associate
1999.8.~2000.2 University of Virginia, Dept. of Pharmacology, Research Associat
2000.3.~현재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09.3.~2018.8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중점연구소, 소장
2010.3.~2012.2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학과장
개설강의
· 일반생물학
생명현상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 세포의 구조와 기능, 광합성, 호흡, 생식, 유전자, 진화 및 생명체의 다양성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배움으로써 생물과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생명과학 공부에 기초가 되도록 한다.
· 동물생리학 (인체생리학)
인체를 구성하는 기관들인 신경계, 내분비계, 근육계, 순환계,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다룬다. 각 기관의 기능을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살펴며, 근본적인 메커니즘과 관련 신호전달 과정들을 논의한다.
· 동물분자생리학 (대학원)
동물의 생리현상을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고찰한다. 특히 생리현상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는 이온통로의 구조 및 기능을 다루고, 이와
관련된 생리 현상들을 최근에 발표된 논문들을 통해 이해하도록 한다.
연구분야
흥분성 동물세포에서 외부 칼슘이온의 세포 내 유입은 신경세포 간의 전기적 신호전달, 근육수축, 호르몬 분비, 유전자 발현, 조직 분화 등의 다양한 생리적 현상에 영향을 줍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외부 칼슘이온의 주된 유입 경로인 칼슘이온통로(칼슘채널)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동물의 다양한 생리작용에 관여하는 이온통로 및 수용기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칼슘통로는 전기적 신호에 의존하여 열리고 닫히며, 칼슘이온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 단백질입니다. 현재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칼슘통로의 유전자를 클로닝하거나 변형시키며, 변형된 유전자를 Xenopus oocyte나 포유류 세포에 발현시킨 후, 발현된 채널을 생화학적 및 전기생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그 구조 및 특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칼슘통로의 전기생리학적 특성은 two-electrode voltage clamp나 patch clamp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칼슘통로의 차단제는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칼슘통로 차단제에 대한 스크리닝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위활성화 칼슘채널은 동물의 뉴론과 심근세포, 췌장의 베타 세포 등의 세포막에 존재하며, 외부 칼슘의 유입 통로로 작용한다. 칼슘채널을 통한 칼슘의 세포 내 유입은 심근 세포와 뉴론의 흥분성, 시냅스 전달, 근육수축, 호르몬 분비, 유전자 발현, 조직 분화 등의 생리 현상을 일으킨다. 병리학적으로, 이 칼슘 채널들의 이상 발현은 고혈압 및 다양한 신경질환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칼슘채널의 구조, 기능, 신호전달에 의한 조절에 대한 연구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인체의 생리작용에 관여하는 다른 이온통로와 수용기들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분자생물학적 방법들을 사용하여, 칼슘통로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Xenopus 미수정란이나 포유류 세포에 발현시키며,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발현된 채널을 통한 채널들의 전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채널 구조와 기능을 밝히고, 전위 변화에 따른 채널의 개폐 및 활성도 조절 기전을 파악하고 있다. 더불어 칼슘채널의 차단제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뇌질환 치료제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그림. 칼슘채널 유전자의 발현, 측정 및 특성 파악. 칼슘채널의 유전자를 Xenopus laevis 미수정란 혹은 HEK293 세포에 발현시킴. 전위고정법으로 발현된 채널을 통한 전류를 측정하여 그 채널의 생물리학적 특성을 파악함. 오른쪽에는 HEK293 세포에 발현된 Cav3.2 T-형 채널의 전류를 patch clamp 방법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보여줌. 여러 농도의 mibefradil은 Cav3.2 T-형 채널전류를 민감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차단함을 보여 줌.
연구업적
Seo BA, Lee J.-H, Kim HM, Kang MG. (2018) Neuronal calcium channel α1 subunit interacts with AMPA receptor, increasing its cell surface localis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8 Apr 6;498(3):402-408.
Lee, N, Jeong, S, Kim, KC, Kim, JA, Park, JY, Kang, HW, Perez-Reyes, E, and Lee, JH. Ca2+ Regulation of Cav3.3 T-type Ca2+ Channel Is Mediated by Calmodulin. (2017) Molecular Pharmacology 92(3):347-357.
Jeong, K, Lee, S, Seo, H, Oh, Y, Jang, D, Choe, J, Kim, D, Lee, JH*, Jones, WD*. (2015) Ca-α1T, a fly T-type Ca2+ channel, negatively modulates sleep. Scientific Reports 5:17893. (*, co-corresponding author)
Park, SJ, Min, SH, Kang, HW, and Lee, J.-H. (2015) Differential zinc permeation and blockade of L-type Ca2+ channel isoforms Cav1.2 and Cav1.3. Biochim. Biophys. Acta. (BBA) biomembranes 1848: 2092-2100
Lee KA, Lee SS, Kim SY, Choi AR, Lee J.-H*, Jung KH*. (2015) Mistic-fused expression of algal rhodopsins in Escherichia coli and its photochemical properties. Biochim. Biophys. Acta.-General Subjects 1850: 1694-1703 [*, co-corresponding author]
Park, HJ, Min, SH, Won, YJ, Lee, J-H. (2015) Asn-linked glycosylation contributes to surface expression and voltage-dependent gating of Cav1.2 Ca2+ channel. J. Microbiol. Biotechnol. 25(8): 1371-1379
Kim, S., Kim, J., Kim, J, Lee, J.-H., Babajanyan, A., Friedman, B., Lee K. (2014) In vitro monitoring of goat-blood glycemia with a microwave biosensor. Current Applied Physics 14: 563-569
Perez-Reyes, E., Lee, J.-H. (2014) Ins and outs of T-channel structure function. Pflugers Arch. 466(4):627-33
Kim, S., Kim, J., Kim, J, Lee, J.-H., Babajanyan, A., Friedman, B., Lee K. (2014) In vitro monitoring of goat-blood glycemia with a microwave biosensor. Current Applied Physics 14: 563-569.
Perez-Reyes, E., Lee, J.-H. (2014) Ins and outs of T-channel structure function. Pflugers Arch. 466(4):627-33.
Orestes, P., Osuru H.P., McIntire, W.E., Jacus. M.O., Salajegheh, R., Jagodic, M.M., Choe, W., Lee, J., Lee, S.S., Rose, K.E., Poiro, N., Digruccio, M.R., Krishnan, K., Covey, D.F., Lee, J.-H., Barrett, P.Q., Jevtovic-Todorovic, V., Todorovic, S.M. (2013) Reversal of neuropathic pain in diabetes by targeting glycosylation of CaV3.2 T-type calcium channels. Diabetes. 62(11). 3828-38.
Seo, H., Li, H.Y., Perez-Reyes, E., Lee, J.-H. (2013) Effects of Eugenol on T-type Ca2+ Channel Isoforms. J. Pharmacol. Exp. Ther. 342:310-3.
Park, H.J., Park, S.J., Ahn, E.J., Lee, S.Y., Seo, H., and Lee, J.-H. (2013) Asp residues of the Glu-Glu-Asp-Asp pore filter contribute to ion permeation and selectivity of the Cav3.2 T-type channel. Cell Calcium 54(3):226-35.
JY Shin, S Lee, H Seo, S Kim, WS Kim, BG Ju, and JH Lee (2013) T-type Cav3.2 Ca2+ channel is predominantly expressed in Xenopus laevis testis and involved in the fertilization process. Genes Genom. 35: 197-203. .
Kim, S, Yoon, Y, Lee, H, Choi, AR, Jung, KH, Babajanyan, A, Abrahamya, T, Yoo, H, Lee, J.-H., Cha, D, Berthiau, G, Friedman, B, Lee, K (2013) ) Application of a sensitive near-field microwave microprobe to the nondestructive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rhodopsin. J. Biophotonics. 6(2): 163–170..
Kobrinsky E., Lee, J.-H., and Soldatov N.M. (2012)